책별 성경연구(20): 야고보서
페이지 정보
작성자 한재현 작성일08-05-09 07:18 조회6,770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책별 성경연구(20): 야고보서
한재현 목사
1. 저자> 야고보는 누구인가?
신약 성경에 나오는 4명의 야고보 중 예수님이 동생 야고보이다. 예수님의 사역 시에 그는 에수님을 메시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(요7:5). 그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다(고전15:7). 120명의 성도들이 다락방에서 기도할 때 거기 있었다(행1:14). 베드로와 함께 초대 예루살렘 교회의 기둥이 되었다. 예루살렘 교회 조직에서 지도자요, 수석 장로요, 목회자였다(행 12:7;15:13; 21:18; 갈2:9,12).
2. 저작시기와 수신인
박해 속에 있는 팔레스틴 밖의 유대인 그리스도인에게 쓰어진 글(1:1; 2:6; 5:6). 1)초기 저작설을 지지하는 분들은 45년경으로 추측한다. 이방인 신자들을 언급하지 않으므로, AD 49년의 총회이전에 쓰인 것으로 보는 경우이다. 2)후기 저작설(AD 62년경)에 다르면, 야고보는 바울의 로마서를 통한 ‘이신 칭의’ 교리가 소개 된 후에 신자들의 오해가 있어서, 믿음의 생활적인 면을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본서를 기록했다고 추측한다. 유대 지도자들과 접촉할 기회가 적었던 그들을 격려하고, “믿음과 행함”에 대한 바른 교훈을 주려고 기록했다.
3. 야고보서의 특징 및 핵심 가르침
1)신약의 잠언이란 별명- 지혜, 가르침의 나열 형식을 취함. 마태 복음의 도덕적 가르침(예, 산상수훈)과도 흡사하다. 복음서 밖에서 예수님의 말씀이 가장 많다. 전체 108절중에 36절이 예수님의 가르침을 반복한다. 이들 중 25절은 내용이다.
2)행함을 강조하는 복음: 루터의 비판과 초대 교회의 정경성 시비
(1) 야고보서 어느 곳 에서 “행위”로 구원받는다고 가르치는가? (2:24?)
“믿음”과 “행함” 모두가 있어야 구원을 받는다는 논리가 아니라, 믿음으로 받는 구원은 반드시 행위로 나타나야 한다. 본서는 결코 행위구원을 이야기하지 않는다. 본서에서 행위강조는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사랑의 행위이다(2:10; 2:8). - 믿음으로 구원 받지만, 참으로 다른 사람 앞에서 증인이 되려면 믿음에 걸맞는 행위가 따라야 한다.
2:17/2:26 - “믿음”과 “행함”은 동전의 양면이다. “믿음”으로 구원 받을 때 “행함”의 씨도 뿌려진다. 금방 싹이 나는 사람도 있고, 아주 느린 사람도 있다. 죽은 믿음, 가짜라면? 영원히 싹이 나지 않을 것이다.
(2) 바울과 야고보의 일치점(약 1:22과 롬2:13)
롬2:13 “율법을 듣는 자가 의인이 아니요 오직 율법을 행하는 자라야 의롭다 하심을 얻으리니”-- (바울은 다 행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).
4. 그리스도인의 삶- 1) 물질? 2) 말?
1) 물질- 야고보는 “부”를 “위험한 것”으로 정의한다.
(1) 영적 생활의 위험성
(2) 믿음의 가족(공동체)을 편가른다(2:1-4)-돈, 외모 때문에
(3) 부의 욕구가 문제이다. - 신자의 기도를 오염시킨다.
(4) 종말 시간을 무지하게 한다.(5:1-6)
해결책? 부를 나눔으로 부가 가진 위험성을 없앨수 있다.(1:27)
2) 말(혀)-
(1) 부정적 사용- 화를 낼때(1:19-20), 다른 사람을 비판(4:11)저주, 하나님을 모독
(2) 긍적적 사용- 가르침에 사용(3:1), 하나님을 축복(찬미)2:9, 지혜를 구하는데 사용
한재현 목사
1. 저자> 야고보는 누구인가?
신약 성경에 나오는 4명의 야고보 중 예수님이 동생 야고보이다. 예수님의 사역 시에 그는 에수님을 메시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(요7:5). 그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다(고전15:7). 120명의 성도들이 다락방에서 기도할 때 거기 있었다(행1:14). 베드로와 함께 초대 예루살렘 교회의 기둥이 되었다. 예루살렘 교회 조직에서 지도자요, 수석 장로요, 목회자였다(행 12:7;15:13; 21:18; 갈2:9,12).
2. 저작시기와 수신인
박해 속에 있는 팔레스틴 밖의 유대인 그리스도인에게 쓰어진 글(1:1; 2:6; 5:6). 1)초기 저작설을 지지하는 분들은 45년경으로 추측한다. 이방인 신자들을 언급하지 않으므로, AD 49년의 총회이전에 쓰인 것으로 보는 경우이다. 2)후기 저작설(AD 62년경)에 다르면, 야고보는 바울의 로마서를 통한 ‘이신 칭의’ 교리가 소개 된 후에 신자들의 오해가 있어서, 믿음의 생활적인 면을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본서를 기록했다고 추측한다. 유대 지도자들과 접촉할 기회가 적었던 그들을 격려하고, “믿음과 행함”에 대한 바른 교훈을 주려고 기록했다.
3. 야고보서의 특징 및 핵심 가르침
1)신약의 잠언이란 별명- 지혜, 가르침의 나열 형식을 취함. 마태 복음의 도덕적 가르침(예, 산상수훈)과도 흡사하다. 복음서 밖에서 예수님의 말씀이 가장 많다. 전체 108절중에 36절이 예수님의 가르침을 반복한다. 이들 중 25절은 내용이다.
2)행함을 강조하는 복음: 루터의 비판과 초대 교회의 정경성 시비
(1) 야고보서 어느 곳 에서 “행위”로 구원받는다고 가르치는가? (2:24?)
“믿음”과 “행함” 모두가 있어야 구원을 받는다는 논리가 아니라, 믿음으로 받는 구원은 반드시 행위로 나타나야 한다. 본서는 결코 행위구원을 이야기하지 않는다. 본서에서 행위강조는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사랑의 행위이다(2:10; 2:8). - 믿음으로 구원 받지만, 참으로 다른 사람 앞에서 증인이 되려면 믿음에 걸맞는 행위가 따라야 한다.
2:17/2:26 - “믿음”과 “행함”은 동전의 양면이다. “믿음”으로 구원 받을 때 “행함”의 씨도 뿌려진다. 금방 싹이 나는 사람도 있고, 아주 느린 사람도 있다. 죽은 믿음, 가짜라면? 영원히 싹이 나지 않을 것이다.
(2) 바울과 야고보의 일치점(약 1:22과 롬2:13)
롬2:13 “율법을 듣는 자가 의인이 아니요 오직 율법을 행하는 자라야 의롭다 하심을 얻으리니”-- (바울은 다 행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).
4. 그리스도인의 삶- 1) 물질? 2) 말?
1) 물질- 야고보는 “부”를 “위험한 것”으로 정의한다.
(1) 영적 생활의 위험성
(2) 믿음의 가족(공동체)을 편가른다(2:1-4)-돈, 외모 때문에
(3) 부의 욕구가 문제이다. - 신자의 기도를 오염시킨다.
(4) 종말 시간을 무지하게 한다.(5:1-6)
해결책? 부를 나눔으로 부가 가진 위험성을 없앨수 있다.(1:27)
2) 말(혀)-
(1) 부정적 사용- 화를 낼때(1:19-20), 다른 사람을 비판(4:11)저주, 하나님을 모독
(2) 긍적적 사용- 가르침에 사용(3:1), 하나님을 축복(찬미)2:9, 지혜를 구하는데 사용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