책별 성경연구(25): 요한계시록
페이지 정보
작성자 한재현 작성일08-05-09 07:31 조회6,449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책별 성경연구(25): 요한계시록 몬트레이 사랑의교회 한재현 목사
1. 저자, 기록장소, 기록시기 1) 저자- 사도요한 (1:1, 4, 9: 22:8)
2) 언제, 어디서 기록했나- 이레니우스는 계시록이 도미티안 황제의 통치중에 쓰여졌다고 한다. (81-96). 밧모섬에서 유배 중이었던 90년 중반에 쓰여졌다. 이것은 신약성경중 제일 늦게 쓰여졌다.
3) 요한 계시록을 읽는 자들의 오해들
a. 영적인 책이므로 영적인 사람만 이해 할 수 있다는 주장.(칼빈도 주해 하지 않음)
알레고리칼 (풍유적) 해석은 독단의 위험을 가진다. 많은 이단들이 이런 해석으로 일어났다. (cf, 히3:4 집? 지은이?,; 롯의 아내가 소금기둥? 두고 온 재산생각으로 울어서...)/
**무엇이 영적인가? 영성있는 사람은 누구인가?
(예수님의 빛이 드러나는가, 믿음의 공동체가 세워지고 있는가, 겸손한가를 보라! )
b. 무시무시하게 무서운 책이다는 주장. 사실은 무시무시한 것이 아니다.
2. 요한계시록의 특징
1) 묵시장르이다.- 사회적으로 암울 하던 시기, 현실을 풍자하되, 자신들만 이해하는 은어를 사용한다. “아는 사람만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르도록 하는 장르” ex) Y2K(2천년 문제-컴퓨터 2자리 인식을 4자리로 바꿈), 911사건, 당근이죠, 짱이야!
2) 묵시적 요소- a. 1:1-3, 7, 10: 4:1
b. 상징들: 네생물 (4:7)- 사자, 송아지, 사람, 독수리 같은 생물로 각각 6날개가 있다.
네 마리 말, 아이벤 여자와 붉은 용(12장)
바다에서 올라온 열뿔과 일곱머리 짐승(13:1-2)
c. 숫자의 상징
7 (완전수); 3(삼층천 하늘)+ 4(땅, 동서남북 네땅끝) (cf, 7:1)
6 (사단의 수(완전 수에서 하나가 빠짐), 6.6.6 - 나쁜수
144= 12(제자)x12(지파) (cf, 21:17, 12,14); 1000 (큐빅)=10x10x10(높이, 세로, 가로)
14만 4천? 상징수 :완전한 수(cf, 7:4) : 이단들은 문자적 수로 해석한다.
3. 요한 계시록의 내용 구조(시.공 초월, 교회론적 해석 가능--땅위 교회:전투적, 천상교회: 승리적) 서론:1장/ 일곱교회에 보낸 편지:2-3장
하늘보좌 환상: 4-5장, 네생물, 24장로, 어린양; 하늘 보좌의 경배의 모습을 보여준다(5:11-14)
일곱인: 6-7장, 6장은 첫째에서 여섯째, 7장은 중간삽입(순교자), 7번째 인봉을 떼면서 일곱나팔재앙이 시작된다.
일곱 나팔: 첫째에서 여섯째( 8:2-9:21), 중간 삽입(10:1-11:14), 일곱 번째나팔(11:15-19)
용과 어린양의 비젼: 12-14장, 그리스도의 승리는 확실하다(14장)
일곱 대접 재앙:15-16장 /창녀의 도시 바벨론: 17-19장/천년왕국:20장-“실현된 천년왕국”상징
새하늘과 새땅(21:9-22:5): 새롭게(카이노스) 갱신되는 우주, 새예루살렘:종말에 교회가 누릴축복
맺음말:22:6-21 **추천 도서? <요한 계시록 어떻게 읽을 것인가>(이필찬, 성서유니온)
4. 요한 계시록의 해석법 종류
1) 교회사적 해석- 분명한 역사적 사건들을 미리 예언해놓은 것으로 해석한다.
2) 과거주의 해석법- 21, 22장을 제외한 모든 예언은 이미 요한의 때에 이루어진 사건으로 해석한다. 예루살렘박해- 4-11장, 로마의 박해-12-19장
3) 이상주의적 해석법- 선과 악의 대투쟁을 상징하고, 요한 계시록은 역사적인 사건이 아니다.
4) 미래 지향주의 해석- 일부는 성취된 사건이고, 대부분은 미래에 일어날 일이다.
5) 개혁주의 해석법- 과거, 현재, 미래의 사건을 총괄하는 시각을 제시한다. “본것을 기록하라”(1장), “이제 있는 일을 기록하라”(2-3장), “장차 될 일을 기록하라”(4-22장). 4-22장의 기록 중에는 이미 성취된 사건을 기록한 것도 있고, 이중적인 성취를 나타내는 예언도 있다.
1. 저자, 기록장소, 기록시기 1) 저자- 사도요한 (1:1, 4, 9: 22:8)
2) 언제, 어디서 기록했나- 이레니우스는 계시록이 도미티안 황제의 통치중에 쓰여졌다고 한다. (81-96). 밧모섬에서 유배 중이었던 90년 중반에 쓰여졌다. 이것은 신약성경중 제일 늦게 쓰여졌다.
3) 요한 계시록을 읽는 자들의 오해들
a. 영적인 책이므로 영적인 사람만 이해 할 수 있다는 주장.(칼빈도 주해 하지 않음)
알레고리칼 (풍유적) 해석은 독단의 위험을 가진다. 많은 이단들이 이런 해석으로 일어났다. (cf, 히3:4 집? 지은이?,; 롯의 아내가 소금기둥? 두고 온 재산생각으로 울어서...)/
**무엇이 영적인가? 영성있는 사람은 누구인가?
(예수님의 빛이 드러나는가, 믿음의 공동체가 세워지고 있는가, 겸손한가를 보라! )
b. 무시무시하게 무서운 책이다는 주장. 사실은 무시무시한 것이 아니다.
2. 요한계시록의 특징
1) 묵시장르이다.- 사회적으로 암울 하던 시기, 현실을 풍자하되, 자신들만 이해하는 은어를 사용한다. “아는 사람만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르도록 하는 장르” ex) Y2K(2천년 문제-컴퓨터 2자리 인식을 4자리로 바꿈), 911사건, 당근이죠, 짱이야!
2) 묵시적 요소- a. 1:1-3, 7, 10: 4:1
b. 상징들: 네생물 (4:7)- 사자, 송아지, 사람, 독수리 같은 생물로 각각 6날개가 있다.
네 마리 말, 아이벤 여자와 붉은 용(12장)
바다에서 올라온 열뿔과 일곱머리 짐승(13:1-2)
c. 숫자의 상징
7 (완전수); 3(삼층천 하늘)+ 4(땅, 동서남북 네땅끝) (cf, 7:1)
6 (사단의 수(완전 수에서 하나가 빠짐), 6.6.6 - 나쁜수
144= 12(제자)x12(지파) (cf, 21:17, 12,14); 1000 (큐빅)=10x10x10(높이, 세로, 가로)
14만 4천? 상징수 :완전한 수(cf, 7:4) : 이단들은 문자적 수로 해석한다.
3. 요한 계시록의 내용 구조(시.공 초월, 교회론적 해석 가능--땅위 교회:전투적, 천상교회: 승리적) 서론:1장/ 일곱교회에 보낸 편지:2-3장
하늘보좌 환상: 4-5장, 네생물, 24장로, 어린양; 하늘 보좌의 경배의 모습을 보여준다(5:11-14)
일곱인: 6-7장, 6장은 첫째에서 여섯째, 7장은 중간삽입(순교자), 7번째 인봉을 떼면서 일곱나팔재앙이 시작된다.
일곱 나팔: 첫째에서 여섯째( 8:2-9:21), 중간 삽입(10:1-11:14), 일곱 번째나팔(11:15-19)
용과 어린양의 비젼: 12-14장, 그리스도의 승리는 확실하다(14장)
일곱 대접 재앙:15-16장 /창녀의 도시 바벨론: 17-19장/천년왕국:20장-“실현된 천년왕국”상징
새하늘과 새땅(21:9-22:5): 새롭게(카이노스) 갱신되는 우주, 새예루살렘:종말에 교회가 누릴축복
맺음말:22:6-21 **추천 도서? <요한 계시록 어떻게 읽을 것인가>(이필찬, 성서유니온)
4. 요한 계시록의 해석법 종류
1) 교회사적 해석- 분명한 역사적 사건들을 미리 예언해놓은 것으로 해석한다.
2) 과거주의 해석법- 21, 22장을 제외한 모든 예언은 이미 요한의 때에 이루어진 사건으로 해석한다. 예루살렘박해- 4-11장, 로마의 박해-12-19장
3) 이상주의적 해석법- 선과 악의 대투쟁을 상징하고, 요한 계시록은 역사적인 사건이 아니다.
4) 미래 지향주의 해석- 일부는 성취된 사건이고, 대부분은 미래에 일어날 일이다.
5) 개혁주의 해석법- 과거, 현재, 미래의 사건을 총괄하는 시각을 제시한다. “본것을 기록하라”(1장), “이제 있는 일을 기록하라”(2-3장), “장차 될 일을 기록하라”(4-22장). 4-22장의 기록 중에는 이미 성취된 사건을 기록한 것도 있고, 이중적인 성취를 나타내는 예언도 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